검은사막 붉은전장(붉전)
붉은 전장은 50레벨 이상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PvP 콘텐츠입니다.
성향치나 길드 가입 여부 등의 제약이 없어서 언제 어디서든 전장에 참여가 가능합니다.
모험가들이 두 진영으로 나뉘어서 자유롭게 PvP를 즐길 수 있습니다.
단, 파티 상태에서는 참여할 수 없습니다.
입장 방법
붉은 전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메뉴에서 ‘붉은 전장’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버튼을 누르면, ‘붉은 전장 현황 창’ 이 나타납니다.
전장 현황 창에서 원하는 서버로 입장할 수 있습니다.
▲ ESC 메뉴의 '붉은 전장' 버튼
조건에 따라 제한형과 자유형이 있습니다.
제한 조건이 있는 제한형 붉은 전장은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입장할 수 있습니다.
정해진 능력치 (레벨/공격력/방어력/공격력과 방어력 합산 수치) 이하만 입장이 가능합니다.
능력치 중 하나라도 조건 이상이 되면, 제한형 붉은 전장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제한형 붉은 전장은 입장 후 장비를 장착 또는 장착 해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입장 전 모든 장비를 꼭 착용해야 합니다.
자유형 붉은 전장은 50레벨 이상이라면 누구나 입장이 가능합니다.
또한 장비 착용 제한이 없습니다.
제한형 붉은 전장은 하이델 1~3서버에서만 진행되며,
자유형 붉은 전장은 기본적으로 케플란 1~3서버에서 진행되지만,
자신이 접속한 서버에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즉, 하이델과 케플란이 아닌 다른 서버에서도 붉은 전장 진행이 가능합니다.
현재 접속 중인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의 전장에 참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버 이동 대기시간이 적용되지 않는 상태여야 합니다.
진영 및 시스템
능력치가 일정 수준 이하인 모험가는 최소 보정을 받게 됩니다.
여기서 능력치란 모험가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합산한 수치입니다.
최소 보정에 의한 능력치가 적용되기 때문에 장비 부담이 없이 붉은 전장을 즐길 수 있습니다.
(최소 보정에 의한 능력치가 따로 표시되지는 않습니다.)
물론, 좋은 장비를 장착해 그 이상의 능력치를 갖춘다면 전투에 보다 유리할 것입니다.
단, 붉은 전장에서는 기존 보다 모험가에게 입히는 피해량이 감소합니다.
붉은 전장에 입장하면, 캐릭터는 자동으로 2개의 진영 중 한 쪽에 소속됩니다.
붉은 전장의 진영은 검은사막군과 붉은사막군으로 나뉩니다.
양 진영에 각각 1명 이상의 캐릭터가 배속되면, 잠깐의 준비 시간 후에 붉은 전장이 시작됩니다.
붉은 전장은 20분 동안 두 진영의 대결로 진행됩니다.
시작 후 10분까지는 참여할 수 있지만, 10분이 지나면 참여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전장이 종료되고 다시 새로운 전장이 시작되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전장이 시작되면 참여자는 붉은 전장 지역으로 이동됩니다.
붉은 전장 지역에서 이탈하거나 게임이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원래 있었던 지점으로 이동됩니다.
이 때, 전장이 시작된 지 10분 전이라면 진행 중이던 전장에 다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참가를 신청하면 붉은 전장 지역으로 이동되며, 자동으로 소속팀이 결정됩니다.
대결은 검은사막군 VS 붉은사막군의 형태로 진행됩니다.
제한 시간 동안 자유롭게 적군을 상대하면 됩니다.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쌓인 점수를 합산해 높은 진영이 승리합니다.
기본적으로 점수는 상대 진영의 캐릭터를 처치했을 때 획득하며,
처치한 캐릭터가 보유한 점수에 따라 습득하는 점수가 달라집니다.
붉은 전장에서는 부활에 특별한 제한이 없습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전투를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점수는 상대 진영의 캐릭터를 처치했을 때 획득하며,
처치한 캐릭터가 보유한 점수에 따라 습득하는 점수가 달라집니다.
조건 |
점수 |
적을 죽였을 때 |
적 모험가 보유 점수의 1/2 획득, 최소한 1점은 얻음 |
내가 죽었을 때 |
내 점수 1/4 잃음, 최소한 1점은 잃음 단, 자신의 점수가 1점이면 죽더라도 점수를 잃지 않는다. |
▲ 아군/적군 식별 표시 및 현재 보유 점수
알아두면 좋은 것
붉은 전장에서는 내 회복제를 그냥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전장 내 보급관 NPC 다즈가 판매하는 회복제가 훨씬 저렴합니다.
붉은 전장 전용 회복제의 개당 가격은 1 은화, 무게는 0.01 입니다.
붉은 전장에서는 보급관에게 회복제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보급관 NPC 다즈에게 말을 걸면 ‘강인한 보호의 효과’를 받는 버튼이 뜨는데
이걸 누르면 일정 시간 회피력 증가와 피해 감소 증가 효과를 받습니다.
전략적으로 이용한다면 플레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강력한 효과이기 때문에 해당 효과가 적용되는 동안에는 거의 무적 상태입니다.)
마지막으로 붉은전장 보급관 NPC 다즈가 일일 의뢰를 주는데,
공헌도 경험치 300, 기운 200 회복 효과, 붉은 인장 3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일, 프리미엄 캐릭터라면 프리미엄 상인 NPC 하즈에게 물품을 구입해서
붉은 전장을 보다 편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붉은 전장 보상
붉은 전장 종료 후 전투 경험치와 기술 경험치, 은화 보상과 함께 붉은 인장을 습득할 수 있는데,
붉은 인장은 속한 팀의 승/패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개수가 달라집니다.
결과 |
보상 |
승리 |
붉은 인장 5개, 전투/기술 경험치, 600만 은화 |
패배 |
붉은 인장 1개, 전투/기술 경험치, 400만 은화 |
전투 경험치와 기술 경험치는 붉은 전장이 종료됨과 동시에 캐릭터에 적용됩니다.
은화 보상은 종료 직후 우편을 통해 지급되는데 승패에 따라,
자신의 공격력 방어력 합산 수치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일정 수의 붉은 인장을 모았다면 보상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인장은 80개를 모으면 하이델 도시의 무기상인 NPC인 오르넬라를 통해 붉은 정수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이 붉은 정수를 특정 수정들과 함께 가열하면
각성한 붉은 전장의 수정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각성 수정의 능력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붉은 전장의 수정 - 무력
(공격력 +5 & 인간족 추가 피해 +2)
붉은 전장의 수정 - 금강
(넉다운/바운드 저항 25% & 기절/경직/빙결 저항 +5%)
붉은 정령의 수정
(최대 생명력+100 & 모든 공격력+5 & 인간족 추가피해+3)
붉은 전장의 수정 – 하르퓌아
(최대 생명력+75 & 생명력 회복량+5 &인간족 추가 피해+5)
붉은 전장의 수정 – 고벨리누스
(최대 생명력+100 & 최대 소지 무게+20LT & 인간족 추가 피해+5)
붉은 전장의 수정 – 살무사
(공격 속도 잠재력+1단계 & 시전 속도 잠재력+1단계 인간족 추가 피해+10)
붉은 전장의 수정 –히스트리아
(최대 소지 무게+20LT & 이동 속도 잠재력+1단계 & 인간족 추가 피해+7)
붉은 전장의 수정 –카르메
(치명타 잠재력 & 공격속도 잠재력+1 & 인간족 추가피해+8)
붉은 전장의 수정 –아디스
(치명타 잠재력 & 시전 속도 잠재력+1단계 & 인간족 추가 피해+8)
붉은 전장의 수정 |
|||
결과물 |
장착 부위 |
재료 |
|
붉은 전장의 수정-무력 |
무기 |
붉은 정수 |
고대 홍염 마력의 수정-무력 |
붉은 전장의 수정-금강 |
신발 |
붉은 정수 |
고대 자연 마력의 수정-금강 |
붉은 정령의 수정 |
보조무기 |
붉은 정수 |
검은 정령의 수정 |
붉은 전장의 수정-하르퓌아 |
투구 |
붉은 정수 |
고대 마력의 수정-하르퓌아 |
붉은 전장의 수정 -고벨리누스 |
갑옷 |
붉은 정수 |
고대 마력의 수정-고벨리우스 |
붉은 전장의 수정-살무사 |
장갑 |
붉은 정수 |
고대 마력의 수정-살무사 |
붉은 전장의 수정 -히스트리아 |
신발 |
붉은 정수 |
고대 마력의 수정-히스트리아 |
붉은 전장의 수정-카르메 |
무기 |
붉은 정수 |
고대 마력의 수정-카르메 |
붉은 전장의 수정-아디스 |
무기 |
붉은 정수 |
고대 마력의 수정-아디스 |
▲ 인장을 모아 NPC를 통해 정수로 교환한 뒤 수정과 조합해 특수한 보상을 획득합니다.
붉은 전장을 통해 부담없이 PvP 를 즐기면서 실력도 쌓을 수 있습니다.
붉은 전장에서 열심히 싸우다 보면, 어느덧 PvP 고수가 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사막 아르샤의 창 (0) | 2020.03.13 |
---|---|
검은사막 거점전/점령전 (0) | 2020.03.13 |
검은사막 수련의 제단 (0) | 2020.03.13 |
검은사막 야만의 균열 (0) | 2020.03.13 |
검은사막 월드보스 (0) | 2020.03.12 |